• Total : 2311629
  • Today : 33
  • Yesterday : 617


섬진강을 거슬러

2009.10.05 23:45

도도 조회 수:6774



 
<상상의 계절 >
여름에그린 설경은
너무도 하얘서
차마 밟지 못하고
되돌아가네
 


 
<조용한 바닷가>
누구를 기다리는 것은 아닙니다
비움의 고요를 그대와 함께하고
있을 뿐입니다
 


 
<매화골>
시련이 꽃을 피웁니다
조용한 꽃
 


 
<산속의 호수>
기다림을 등진 듯
호수는 따로 물길을 텄지만
그럴수록 더 영롱한
그리움입니다
 


 
<응시>
바라보는 것들은
모두
사랑이어야 합니다
 


 
마음속에 길을 내고
원두막을 하나 지었습니다
아침에 일어나 보니
빈 원두막 옆 서성대는
하느님 있습니다
오늘하루도
세상의 언덕과 물 잘 넘고,
잘 건너시기를
 


 
<바라보기-걸레>
저녁이 올때까지도
오늘에게 이름 하나 지어주지 못하고
허우대다가
무심히 바라본 마룻가의 걸레에
눈길 머뭅니다
참 거룩한 몫입니다
 


 
어쩌면
80년보다 더 걸릴지도 모르지요
어린이로
되돌아가는 데에 말입니다
 


 
세상 삶이 아닌
삶이 세상 삶에 대한
대안이라는 말이었지요
' 나는 다 살았다' 는 선포가 아니라
깨달음 이후의 삶이 일생을 허비하며
바둥거렸던 삶보다 더 값지다는 것이겠지요
노인이 건네는 말들은 언제나 나도
되풀이할 지도 모를 말들이니,
그 과정에서 있었을
수많은 논리적 번복을
우리는 역으로 추적할 밖에요
 


 
사람이 집을 짓고
그 집이 다시 사람을 짓는다는데
컴퓨터 앞에 앉아서
클릭 한 번으로
세상사의 대부분을 해결하며 삽니다
 
이 시대의 우상같은
만능 화살표의 위력!
 
그러나
그 모든 것의 마지막에
사람의 자리가 있어야 함을
결코 잊지 말아야 합니다
 


 
<섬진강- 전기다리미와 어머니>
" 얘야, 전기다리미 스위치를 살짝만 꽂아라, 전기세 많이 나올라."
우리 할머니는 전기도 수도꼭지처럼 스위치에서 조절 되는 줄 알고
사시다가 세상을 떠나셨다
 
플러그를 깊숙히 꽂으면 전기가 많이 흘러 나와서 전기요금이 많이
나오는 줄 아셨으니
어디선가 당신이 알지 못하는 곳으로부터 무슨 줄 같은 것을 통해
공급 되어지는 것에의 낯섦이
할머니에겐 사용의 편리함을 즐기지 못하게 하는 불안을
주기도 했던 것이다
 
수돗물을 바가지에 받는 모습과 우물물을 두레박으로 푸시는 모습은
그 다루시는 자신감의 모습에서 비교도 되지 않게 달랐으니까
 
나는 할머니의 '전기다리미 이야기'를 두고
매사에 검소하셨던 우리 선친들의 생활력이거나
지금 우리가 누리는 풍요와 뿌리라고
간간이 이야기한 적이 있었지만,
지금은 생각이 다르다
 
' 삶은 경험이다'
 
경험은 각자만의 것이고,
그 각자의 다양성이 모여
인간의 굴레가 되고
경이롭게도 그 경험이
'순미'라는 초월적 힘에 의해 통일되어
유유히 역사라는 것을 만들어 가고 있지 않은가
 
오늘을 사는 우리는
수많은 정보 속에서 어쩔 수 없이
다른 사람의 경험을 간접적으로 받아 들이며,
그것을 주초(柱礎)삼아
자신의 집을 지어야 할 경우가 많다
 
모래같은 불안한 반석일지라도
사람들의 눈을 확하게 해야 하는
모델하우스 같은 집
 
친구야!
언제 한 번 일 덮어 두고
지리산에나 가 보자
섬진강을 거슬러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7 부모가 되기 전 까지 물님 2019.05.27 4561
116 내 약함을 기뻐하며, 고후12:1~10 도도 2014.04.11 4560
115 [1] 지혜 2016.03.31 4541
114 보라 날이 이를지라 물님 2014.05.30 4530
113 그리스도를 위하여 물님 2014.09.04 4529
112 늙어서 일하자 물님 2015.06.24 4527
111 당신의 핸들 물님 2019.11.11 4526
110 독립운동가 권기옥 물님 2019.02.18 4526
109 큰 특권 물님 2019.10.07 4524
108 황새법 - 따뜻한 하루 물님 2022.01.16 4521